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---|---|---|---|---|
32 |
2011년 귀농주택 자금 및 귀농자금 안내
![]() |
코에코 | 5793 | 2011.03.28 |
31 | 좋은 집은 시공성을 반영한 설계에서 나온다. [2] | 코에코 | 4856 | 2010.07.15 |
30 | 성절토에 의한 개발행위 | 코에코 | 4346 | 2009.02.11 |
29 |
[토목]석축공사 건축법 시행규칙
![]() ![]() |
코에코 | 8612 | 2009.02.04 |
28 | [토목]석축쌓기 공법 | 코에코 | 15592 | 2009.02.04 |
27 |
[토목]찰쌓기 순서 및 재료
![]() |
코에코 | 7494 | 2009.02.04 |
26 |
[토목]메쌓기? 찰쌓기?
![]() ![]() |
코에코 | 26599 | 2009.02.03 |
25 | 내 집 마련 말고, 내 집 짓기는 어떠신지요? [2] | 코에코 | 4566 | 2009.04.10 |
24 | 귀농귀촌종합센터 - 농촌주택표준설계 및 각종 귀농자료 [2] | 코에코 | 3719 | 2009.04.08 |
23 |
필로티구조란?
![]() ![]() |
코에코 | 9335 | 2009.05.15 |
22 | 공정율,공종율 | 코에코 | 4236 | 2009.04.11 |
21 |
베란다, 발코니, 테라스, 포치, 썬큰, 썬룸에 대한 이해
![]() ![]() |
코에코 | 11684 | 2009.01.28 |
20 | 증축과 개축의 차이 | 코에코 | 3936 | 2009.01.23 |
19 | 이주자택지와 협의자택지 | 코에코 | 4662 | 2009.01.21 |
>> | 침엽수와 활엽수 상식 | 코에코 | 4787 | 2008.12.24 |
17 | 고가주택과 고급주택 구분 [1] | 코에코 | 4526 | 2008.11.17 |
16 | 전원주택 인허가에서 준공까지 | 코에코 | 5581 | 2009.12.29 |
15 | 시방서란? 시방서의 효력 | 코에코 | 8732 | 2008.11.18 |
14 | 집짓기 수호천사 [5] | 코에코 | 5992 | 2009.03.12 |
13 | 건축공사 내역서 체크리스트 [5] | 코에코 | 6777 | 2008.04.08 |
2) 섬유 - 목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. 침엽수의 것이 활엽수의 것보다 크다.
3) 도관 - 동물로 말하면 혈관과 같은 것이다. 활엽수에만 존재한다. 침엽수는 섬유가 대신 도관역할을 한다. 작은 구멍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도관이 없는 침엽수는 그만큼 조직이 조밀하다보 보아야 할 것이다.
4) 수선 - 통나무의 잘린 면에 방사선으로 잔금이 나는 것은 바로 이 수선이 건조되면서 나타나는 것이다. 참나무과에 가장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면 참나무는 재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. 마르는 과정에서 줄기방향으로 금이 쩍쩍 갈라질 것이기 때문이다.
5) 수지홈 - 쉽게 말하자면 송진을 보관하는 곳으로 세포와 세포 사이에 존재한다. 특이한 것은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에만 존재한다. 따라서 침엽수가 아닌 것은 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면 될 것이다. 단 활엽수종에서 라왕엔 존재한다.
* 위의 내용에서 나무를 왜 침엽수와 활엽수로 구분하는지를 알게된다. 또한 침엽수가 힘을 받는 재목으로 훨씬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음을 알게된다. 나무에 대해 잘 모르면 활엽수로는 재목으로 쓰지 않으면 반은 먹고 들어간 셈이다.
* 현재 경량목구조에서 구조재로 사용되어 지고 있는 SPF는 침엽수다.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