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








건축주님은 성인이 된 자녀들이 지낼 방과 서재 공간 등 방의 개수가 많기를 희망하셨다.
특히 마당 있는 집을 원하셨기에
건물 폭을 날씬하게 처리하여 ‘안마당’을 넣으려는데 주안점을 두었다.
ㄱ자 형태의 건물 배치로 위요(enclosed space)된 마당을 의도하였다.
마당 있는 집이 설계 컨셉이며 꽉 막힌 대지에 따뜻한 쉼표를 넣고자 하였다.
처음에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2층 규모의 단독주택을 계획하였으나
물리적인 용적의 한계로 3층 주택으로 변경하였다.
철근콘크리트와 달리 목조주택은 층수에 따른 시공성이나 공사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.
- 비움비건축사사무소 / 김병구 건축사 -


현 관



현관 앞에서 본 거실 방향




거실 안에서 바라본 주방/식사실







계단실 하부는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고 도어를 설치하였습니다.


1층 욕실

2층 계단실에서 본 서재(창)과 세탁실(도어)방향입니다.

2층 서재





2층. 세탁실에서 바라본 안방


2층 안방은 가운데 선반 장을 가벽처럼 활용





안방에서 바라본 세탁실

2층 안방 욕실




3층 욕실








3층 방-1



3층 방-2








